병원체

유행성출혈열은 한탄 바이러스와 서울 바이러스 등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입니다.

유행성출혈열은 부니아바이러스과의 한타 바이러스 속에 속하는 여러 종의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며 한탄, 서울, 도브라바, 푸말라 바이러스 등이 대표적입니다.

유행성출혈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한 종류인 한탄 바이러스는 1951~1953년 한국전쟁 중 UN군에서 약 3,200명 이상의 유행성출혈열 환자가 발생하고 이 중 수백 명이 사망함으로써 원인 규명에 나서 1976년 이호왕 등이 유행성출혈열 환자의 회복기 혈청과 특이하게 반응하는 항원을 등줄쥐에서 발견, 이 항원이 유행성출혈열의 원인 바이러스임을 확인하고 바이러스를 발견한 한탄강의 이름을 따서 한탄 바이러스로 명명했습니다.

1976년 제2종 전염병 유행성출혈열로 지정되었고 1983년 WHO(세계보건기구)에서는 신증후군출혈열로 명명하였으며 2000년부터 제3군 감염병으로 분류했습니다. 따라서 유행성출혈열이 아니라 신증후군출혈열로 부르는 것이 맞습니다

감염 매개체

한탄 바이러스는 설치류에 만성 감염을 일으키고 감염된 설치류의 분변, 오줌, 타액 등으로 배출되어 공기 중에 건조된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며 드물게 매개체를 통해 전파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국내 유행성출혈열의 약 70%는 한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데 이는 주로 농촌지역의 등줄쥐에 의해 매개되며 이와 달리 서울 바이러스는 집쥐, 애급쥐, 실험실용 흰쥐 등에 의해 주로 옮겨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타 바이러스 전염

전세계적으로 지역마다 특정 한타 바이러스 종의 분포에 있어서 조금씩 차이를 보이나 해당 지역에서의 분포는 해당 매개체의 지역적 분포와 대체로 일치합니다.

유행성출혈열 쥐

증상

유행성출혈열은 무증상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증상을 보입니다. 발열, 출혈 소견, 신부전을 3대 주요 소견으로 하며 오한, 두통, 요통, 근육통, 안면홍조, 결막충혈, 겨드랑이와 연구개점상출혈, 특징적으로 양측 늑척추각 압통 관찰됩니다. 심한 경우 의식저하나 경련이 발생합니다.

유행성출혈열 증상유행성출혈열 증상(중복응답)

대체로 발열기, 저혈압기, 핍뇨기, 이뇨기, 회복기로 나눠지는 5단계의 양상을 보이며 한탄 바이러스의 약 30%, 서울 바이러스의 약 15% 정도는 5가지 병기가 모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발열기(3~5일):갑자기 시작하는 발열, 오한, 허약감, 근육통, 배부통, 오심, 심한 두통, 안구통, 얼굴과 몸통의 발적, 결막 충혈, 출혈반, 혈소판 감소, 단백뇨 등의 증상
2. 저혈압기(1~3일):30~40%의 환자에서 나타나며 해열이 되면서 24~48시간 동안 저혈압이 나타나고 이중 절반 정도에서 쇼크가 나타나며 배부통, 복통, 압통 등이 뚜렷해지고 출혈반을 포함하는 출혈성 경향이 나타남
3. 핍뇨기(3~5일):60%의 환자에서 나타나며, 무뇨(10%), 요독증, 신부전, 심한 복통, 배부통, 허약감, 토혈, 객혈, 혈변, 육안적 혈뇨, 고혈압, 뇌부종으로 인한 경련, 폐부종
4. 이뇨기(7~14일):신기능이 회복되는 시기로 다량의 배뇨가 있어 심한 탈수, 쇼크 등으로 사망할 수 있음
5. 회복기(3~6주):전신 쇠약감이나 근력감소 등이 있으나 서서히 회복

※ 사망원인 : 쇼크, 뇌질환, 급성 호흡부전, 폐출혈 등

치료 및 합병증

유행성출혈열은 의사의 진단에 따라 질병 경과에 따른 내과적 대증치료 실시합니다. 대부분은 후유증 없이 회복되나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뇌출혈의 결과로 영구적인 신경학적 장애가 드물게 발생합니다.

예방접종

접종대상자
1. 군인 및 농부 등 직접적으로 신증후군출혈열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집단
2. 신증후군출혈열 바이러스를 다루거나 쥐 실험을 하는 실험실 요원
3. 야외활동이 빈번한 사람 등 개별적 노출 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는 자

예방수칙

1. 유행 지역의 산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할 것(특히, 10∼11월)
2. 들쥐의 배설물 접촉을 피할 것
3. 야외활동 후 귀가 시에는 옷을 꼭 세탁하며 샤워나 목욕을 할 것
4. 감염위험이 높은 사람은 적기에 예방접종을 할 것

발생현황

유행성출혈열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와 스칸디나비아 반도, 유럽 등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며 연간 환자 발생 수는 150,000여명으로 추정되고 이 중 절반이 중국에서 발생하며 러시아에서도 매년 수백에서 수천 명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2000년 이후에는 매년 약 400명 내외로 유행성출혈열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2015년 384명, 2016년 575명, 2017년 593명의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유행성출혈열 월별 발생현황유행성출혈열 월별 발생현황

유행성출혈열은 10~12월에 집중되어 발생하고 소수의 환자들이 연중 발생하고 있으며 지역별 특징 없이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링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