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독(syphilis)은 트레포네마 팔리듐균(Treponema pallidum)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전신성 감염 질환으로 대부분 매독 환자와 성접촉을 할 때 병변에 노출 또는 체액을 통해 감염되며 드물게 수혈이나 임신 중 수직감염 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독 발생률이 1960년 이후 점차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2000년 이후부터 매독 환자(1기, 2기, 선천성 매독)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5년에 1006명이던 매독 환자가 2016년 1568명, 2017년 2152명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연도별 매독 발생현황연도별 매독 발생현황(질병관리본부)

매독은 오랜 잠복기를 가지기도 하고 피부 및 다른 장기에도 다양한 병변을 일으켜 초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 불임의 원인이 되며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독의 경과에 따른 증상을 기억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감염경로

일차적인 감염경로는 질, 항문, 구강을 통한 성접촉이며 키스, 바늘과 주사기구를 공유하는 행위, 수혈 등으로 인한 감염은 드뭅니다. 1기, 2기, 조기잠복매독은 전염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며 감염의 위험성은 감염된 성 파트너와 성관계를 가졌을 때 60% 정도로 추정됩니다. 그리고 이 중 30% 정도에서 매독이 발생합니다.

증상

매독의 증상은 1기, 2기, 잠복기, 3기 이렇게 4단계로 나뉩니다.

■ 1기 매독
균이 침범한 부위에 10~90일의 잠복기를 거쳐 굳은 궤양이 발생하는데 초기 지저분한 붉은 반점으로 시작해 무통성의 궤양으로 진행됩니다. 하지만 여자 환자나 동성애 남자 환자의 경우는 질이나 항문 주위에 발생하여 인식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궤양은 1~6주 정도 지속하고 치료 후 1~2주 이내에 흉터 없이 호전됩니다. 주로 귀두와 음순과 같은 성기부에 1cm 크기의 단일 병변으로 발생하나 얼굴과 몸통과 사지, 손가락 등과 같은 성기 이외의 부위에서도 발생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의 절반 이상이 입술, 입 주위, 구강 내에 발생하여 진단에 혼동을 줍니다. 1기 매독 환자의 70~80%에서 감염 첫 주에 굳은 궤양 주변 림프절이 커지나 압통이나 화농은 없습니다.

■ 2기 매독
2기 매독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궤양 발생 후 약 4~10주경이다. 70%의 환자가 피부발진의 증상을 보이며 신체검사 상 90% 이상의 환자에서 피부발진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3~10mm 정도의 홍반이 옆구리, 어깨, 가슴, 팔 등에서 나타나고 치료하지 않을 경우 구진 형태로 발전하며 이 중 약 50~80%가 손바닥이나 발바닥에서 관찰됩니다.

2기 매독의 다른 증상으로는 인후통, 무력감, 두통, 림프결절, 발열, 탈모, 근육통, 체중감소, 식욕부진, 수막자극증, 관절통, 점막반점, 편평콘딜로마 등입니다. 또한, 2기 매독은 전신 질환이기 때문에 신경, 신장, 안구, 소화기, 간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치료를 받지 않으면 2기 매독의 증상이 1년 이내에 해소되지만 약 1/4에서는 4년 이내에 재발하기도 합니다.

매독 증상

■ 잠복 매독
증상이 없는 잠복 매독의 경우 그 시기에 따라 감염 후 1년 이내를 조기잠복 매독 그 이후를 후기 잠복 매독으로 나눕니다. 그리고 치료받지 않은 약 1/3의 환자는 후기 후유증을 갖는 3기 매독으로 발전합니다.

■ 3기 매독
치료받지 않은 잠복매독의 약 1/3에서 진행되며 양성 3기 매독, 심혈관 매독, 신경 매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성 3기 매독(잠복기: 1~46년)은 흔히 피부, 간, 뼈 등에 고무종의 형태로 발생하고 신경 매독(잠복기: 2~20년)은 신경 증세 없이 뇌척수액 검사에서 이상소견이 있는 무증상 신경 매독과 급성 매독성 뇌막염, 진행성 마비, 척수 매독, 시신경 위축 등의 증상 신경 매독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심혈관 매독(잠복기: 10~30년)은 트레포네마 팔리듐균(Treponema pallidum)이 근위부 대동맥 혈관으로 침입, 잠복기를 거쳐 대동맥염, 대동맥류, 대동맥 판막부전 등의 병변으로 발생합니다.

치료

매독 치료의 원칙은 페니실린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페니실린은 다른 감염 질환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아 약제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페니실 린에 심한 과민반응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페니실린을 사용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대체요법이 필요하며 doxycycline이 권장됩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링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