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가 없던 과거에는 많은 사람이 그 원인을 모른 채 다양한 세균에 감염되어 사망했습니다. 그러던 중에 1928년 영국 생물학자 알렉산더 플레밍(Alexander Fleming)이 푸른곰팡이에서 최초의 항생물질인 페니실린을 발견하면서 다양한 세균 감염증을 치료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후 세계는 새로운 항생제들을 계속 개발해 사용하면서 인간의 수명도 수십 년 연장됐습니다.

그러나 항생제의 오남용이 증가하면서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내성균이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세균도 생명체이므로 살아남기 위해 계속해서 변이를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항생제를 계속 사용하는 한 내성균의 발생을 막을 방법은 없습니다.

이에 우리는 항생제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복용하지 않고 복용하더라도 최대의 효과를 거두는 방법으로 적절히 복용하여야 내성균의 증가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항생제 복용 금지

항생제는 세균의 발육을 억제하고 사멸시키는 물질입니다. 따라서 세균 감염증에만 효과를 발휘하며 바이러스 감염증에는 전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합니다.

대표적으로 감기는 대부분의 경우 바이러스가 주원인이며 세균감염 때문인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다. 감기라도 세균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항생제를 복용해야 하지만 이는 극히 일부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단순 감기라면 증상에 맞춰서 치료하면서 경과에 따라 전문가의 판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단순 감기에 항생제를 처방하는 병원들이 많습니다. 다음으로 항생제 처방률이 적은 병원을 찾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항생제 처방 적은 병원 찾는 방법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병원평가정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접속 한 후 병원·약국 메뉴에서 병원평가정보를 선택합니다. 이후 약 메뉴에서 항생제를 선택한 다음 본인 거주지역을 입력하면 평가등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항생제

1~5등급 그리고 등급제외로 나뉩니다. 1등급이 단순 감기에 가장 낮은 항생제 처방률을 나타내며 등급이 올라갈수록 높은 처방률을 나타냅니다. 등급제외는 평가 기간 내 급성상기도감염(감기) 진료 건수가 100건 미만인 의료기관을 나타냅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니 이용하시는 지역 병원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면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올바른 항생제 복용 방법

항생제 복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일단 항생제를 처방받았으면 정해진 용법에 따라 정해진 기간 동안 끝까지 먹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세균감염 때문에 생긴 대부분의 증상은 항생제 치료 후 수일 내에 호전됩니다. 이 때문에 중간에 항생제 복용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호전되었다고 해서 감염증을 일으킨 몸속에 세균이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증상이 호전됐다고 임의로 항생제를 중간에 끊는 일이 반복되면 항생제에 노출됐던 세균이 내성을 획득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본인의 판단하에 임의로 항생제를 복용해서도 안 됩니다. 이전과 동일한 증상을 보인다 해도 이때 처방받았던 항생제를 임의로 복용하면 안되고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가에게 다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2017년 5월 영국에서 발간된 짐오닐 보고서는 항생제 내성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오는 2050년에 전 세계에서 1,000만명이 항생제 내성으로 사망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이처럼 항생제 내성 문제는 어느 한 나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모든 인류에게 재앙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링크
댓글